■디스플레이 업계, OLED 강화하는 이유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2023년 1분기 나란히 부진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잔방 세트업체들의 수요 감소
-삼성디스플레이: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주력인 중소현 OLED수요가 줄어든 영향(매출 17.1%감소, 영업이익 32%감소 YOY)
-LG디스플레이: 현재까지는 LCD(액정표시장치)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하지 못한 LG디스플레이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LCD 패널 가격이 하락한 타격(매출 31.8% 감소, 영업손실 1조984억원 YOY)
▶IT용 OLED 사업 강화 이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앞세워 수익성 강화
-노트북, 태블릿 등 IT기기의 OLED 탑재가 증가, 더불어 올해 출시 확장현실(XR)기기에도 OLED 공급 예정
■OLED 투자 늘린다
▶주요 투자처: 노트북, 태블릿 등 IT 용 OLED 및 XR 기기로의 확장
-글로벌 빅테크 애플은 2024년부터 아이패드 프로에 탑재, 2026,2027년에는 맥북프로에 탑재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 코멘트
1) IT 시장 내 OLED 침투율은 2024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할 것
2) 올해부터 OLED 탑재가 필수적인 XR 기기들의 출시 예정
▶OLED 투자방향
-삼성디스플레이
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26년까지 총 4조 1000억원 투자 확정, LCD용 팹이었던 아산캠퍼스 L8-2라인도 OLED 생산라인으로 변경
2) 향후 노트북, 태블릿, 전장 분야에 투자하여 스마트폰의 성공 사례 재현
-LG디스플레이
1) 기존 주력 사업인 LCD→OLED로 사업구조 변화
2) 2023년 3월 LG전자로 부터 사업고도화를 위한 1조원 차입
3) 사업 고도화를 위해 중국의 LCD팹 가동 종료 및 8세대 LCD팹도 50%다운사이징 운영
▶OLED 기술 방향
-삼성디스플레이
1)XR 시장 개화에 대비→미국의 OLED업체 '이매진'의 주식을 전량 2900억에 인수
2)'이매진(eMagin)'은 '다이렉트 패터닝' 기술을 소유
3)기존 OLED보다 낮은 전력에 더 높은 화면 밝기(휘도)를 제공
4)이매진은 기존 OLED 대비 화소 수가 많은 마이크로 OLED와 관련된 여러 기술을 보유
5)삼성은 이매진의 마이크로 OLED 기술을 통한 XR시장의 경쟁력 확보에 주력
-LG디스플레이
1)올레도스(OLEDoS) 기술 개발
2)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미세한 화소를 촘촘하게 배치하는 기술
3)실리콘 웨이퍼를 기판으로 사용하면 기존 OLED 대비 높은 화소 수 구현 가능
4)실리콘 웨이퍼는 유리기판보다 얇고 가벼워 기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함
■ 정리해본 관련섹터 관련주
▶삼성디스플레이 관련주
-전공정: 에스에프에이, 로체시스템즈
-기판: 원익IPS,에스앤에스텍, 케이씨텍, AP시스템, 아이씨디, 필옵틱스
-후공정: 이오테크닉스, 예스티, 영우디에스피
-소재: 덕산네오룩스
▶LG디스플레이 관련주
-전공정: 인베니아, 베셀, 케이씨텍, 주성엔지니어링, 아바코, 인베니아, 아이씨디, 비아트론
-OLED: 선익시스템, 야스, 이녹스첨단소재
-후공정: 탑엔지니어링, 미래컴퍼니, 디에스케이, 동아엘텍
▶삼성,LG 패널 공급 기대 관련주
-OLED패널 공급 기대: 인베니아, 프로이천, 야스, 라온텍
*제가 올리는 모든 글들은 뉴스들을 정리한 것으로 투자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공부의 목적으로 보시되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해주세요 ^^
'재테크,주식,부동산,n잡러,파이프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ED, 반도체 장세에 대한 기존 정리내역 공개 (0) | 2023.05.25 |
---|---|
05.25. 주요지수 코멘트 (0) | 2023.05.25 |
05.24. 오늘의 지수 코멘트 및 오전 특징주 장외 특징주 (2) | 2023.05.24 |
5.15. 유투브 정리(feat. 기릿의 주식노트) (0) | 2023.05.16 |
5.10. 유투브 정리(feat. 기릿의 주식노트) (0) | 202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