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부동산,n잡러,파이프라인

주식관련 용어 정리 - 정크 본드/하이일드채권(Junk bond/ High yield bond)

by 파파켁 2023. 6. 15.
728x90
반응형
SMALL

정크본드란?

■정크 본드, 하이일드 채권의 의미

정크(Junk)란 쓰레기를 뜻하는 말로 정크본드를 직역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이다.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부른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자가 높기 때문에 중요한 투자 대상이 된다.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으며, 당시 신용도가 높은 우량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기업의 경영이 악화되어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 가리켰으나, 최근에는 성장성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M&A(Merger and Acquisition)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2259 

 

[시사경제용어사전] 정크본드

정크(Junk)란 쓰레기를 뜻하는 말로 정크본드를 직역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이다.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 또는 열등채라고도

www.moef.go.kr

▶회사채의 종류

◎투자등급 채권

-통상적으로 하이일드채권보다 덜 위험하고, 낮은 수익 제공

-국채처럼 좀 더 안정적으로 원금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연령대에 추천됨

 

◎하이일드 채권

-채권발행자의 디폴트(부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높은 수익률 제공하지만, 위험성이 높음

-하이일드 채권 발행 기업은 채권과 관련된 추가적 불확실성 보장을 위한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할 수 밖에 없음

-대부분 테크기업(신생), 부동산 개발업체의 신규 발행 채권

-20대 처럼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로 도전적인 투자를 지향할 때 포트폴리오 포함 추천됨

 

▶회사채의 분류

-3대 신용평가 기관: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Moody's), 피치(Fitch)

-3개 기관은 채권을 심사 및 분류

출처:  Fidelity, Fidelity International, Fidelity International

▶국채도 하이일드가 있다?

-국채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분류됨

ex)미국 국채는 투자등급채권으로 분류, 베네수엘라 국채는 하이일드채권으로 분류

천사의 추락: 투자등급의 조정으로 하이일드채권으로 추락될 수 있는데 이를 가리키는 용어

▶경제가 채권에 미치는 영향

-경제상황 악화 시: 투자등급채권 선호(미국 달러 선호, 일본 엔화 선호, 미국 장기채 선호 등과 같음)

-경제상황 호황시: 하이일드채권에 대한 수요 증가

-세계 경제가 상승 국면일 때는 일드가 높은 채권이 일드가 낮은 채권에 비해 성과가 좋은 것이 정설

▶금리가 채권에 미치는 영향

-듀레이션(기간으로 표시): 각기의 현금유입을 만기수익률로 할인한 현재가치에 장래의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가중하여 구함

-하이일드채권과 금리

-하이일드채권 → 높은 비율의 현금흐름이 쿠폰수익으로 발생하고, 만기가 일반적으로 더 짧음
-실제 금리상승과 오를것이라는 예상시: 투자등급채권보다 영향을 덜 받음
-실제 금리하락과 내릴것이라는 예상시: 투자등급채권보다 덜 오르게 됨(23년 6월 15일자 현재 국면)

-투자등급채권과 금리

-투자등급채권 → 높은 비율의 현금흐름이 만기 원금 상환 시 발생하기 때문에 긴 듀레이션을 가짐(만기가 길다)
(가장 안정적인 투자등급 채권은 평균보다 더 긴 듀레이션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우량 국채들과 유사함)
-실제 금리 변화, 예상 변화에 민감도: 듀레이션이 긴 채권(장기채) >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단기채)

 

728x90
반응형
LIST